[생성 AI 길라잡이] 지브리 다음은 피규어, 챗GPT로 ‘피규어 패키지’ 만들기

한만혁 mh@itdonga.com

※생성 인공지능이 세계를 뜨겁게 달굽니다. 사람만큼, 더러는 사람보다 더 그림을 잘 그리고 글을 잘 쓰는 생성 인공지능. 생성 인공지능을 설치하고 활용하는 방법과 최신 소식을 매주 전합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화두입니다. 이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가 SNS를 휩쓸었죠. 개인 프로필은 물론 이미지 피드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가득했습니다.

최근에는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는 ‘바비코어(Barbiecore)’ 트렌드에서 이어집니다. 바비코어는 강렬한 핑크색과 반짝이는 소품으로 꾸민 바비 인형 스타일입니다. 즉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는 바비 인형 같은 피규어를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 안에 배치한 이미지를 말합니다.

챗GPT로 생성한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 / 출처=IT동아
챗GPT로 생성한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 / 출처=IT동아

챗GPT로 생성한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를 보면 마치 실제 장난감 가게에서 판매하는 피규어 같습니다. 본인이나 지인의 모습을 피규어로 바꿀 수 있으니 만드는 재미가 제법 쏠쏠합니다. 자세나 배경은 물론 배경 컬러, 스타일, 액세서리도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어 독창적인 패키지를 완성할 수도 있죠.

이번 시간에는 챗GPT를 이용해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챗GPT 이용 방법과 같지만 몇 가지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챗GPT를 열고 프롬프트에 피규어 스타일로 바꾸고 싶은 사진을 올립니다. 이때 사진은 정면을 바라보는 전신사진이 좋습니다. 상반신만 찍은 사진을 올리면 하반신이 없는 피규어가 나옵니다. 정면 전신사진을 올려야 자연스러운 피규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올리지 않아도 되지만 피규어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사진을 올리지 않아도 되지만 피규어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물론 사진을 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원하는 피규어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면 그에 맞는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사진을 올린 후에는 프롬프트를 작성합니다. 이때 단순히 ‘바비코어 스타일로 만들어 달라’라고 적으면 그냥 핑크빛 이미지가 나옵니다.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해야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바비코어 이미지를 제작해 달라고 하면 일반적인 핑크빛 이미지가 나온다 / 출처=IT동아
바비코어 이미지를 제작해 달라고 하면 일반적인 핑크빛 이미지가 나온다 / 출처=IT동아

‘액션 피규어 패키지’를 만들라는 요청 사항을 적고, 배경 색상, 피규어 표정 및 자세, 문구, 의상 등 원하는 스타일을 명확히 지정합니다. 피규어 스타일에 걸맞는 액세서리가 있으면 함께 언급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진 속 인물을 3D 액션 피규어로 변환하고 장난감 패키지로 만들어 주세요. 얼굴은 웃는 표정으로 해주세요. 배경은 파란색 계열 파스텔톤으로 해주세요. 상단에는 Traditional Kid라고 적어 주세요. 오른쪽에는 전통 팽이, 딱지, 꽹과리 액세서리를 넣어 주세요.”

“사진 속 인물을 3D 액션 피규어로 변환하고 장난감 패키지로 만들어 주세요. 사진은 소방관 옷을 입은 사람입니다. 얼굴은 웃는 표정으로 해주세요. 배경은 붉은색 계열 파스텔톤으로 해주세요. 상단에는 Firefighter라고 적어 주세요. 액세서리는 소화기, 호스, 랜턴을 넣어 주세요.”

프롬프트는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프롬프트는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 출처=IT동아

사진과 프롬프트를 작성했다면 이제 업로드 버튼을 누르고 잠시 기다립니다. 소요 시간은 요청할 때마다 달라집니다.

만약 결과물이 아쉽다면 프롬프트를 수정하거나 추가해 다시 요청하면 됩니다. 자세나 표정, 색상, 문구, 액세서리 등을 바꿀 수 있죠. 이때 바꾸고 싶은 부분만 적을 경우 기존 결과물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기존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필요한 부분만 수정 및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자세 변경을 지시하면 참고할 사진을 올려달라고 요청하기도 합니다.

마음에 드는 결과물을 완성했다면 내려받아 SNS 등에 게재하면 됩니다. 단 SNS나 블로그 등 비상업적 용도로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지만, 상업적 용도는 제한됩니다.

실제 캐릭터의 피규어 이미지를 요청하면 생성할 수 없다 / 출처=IT동아
실제 캐릭터의 피규어 이미지를 요청하면 생성할 수 없다 / 출처=IT동아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를 생성할 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저작권과 상표권입니다. 얼굴이 포함된 사진을 업로드하기 때문에 저작권, 개인정보 보호에 신경 써야 합니다. 또한 실제 인형이나 캐릭터의 외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프롬프트 작성 시 업로드한 사진이나 기존 인형, 캐릭터와 똑같이 만들어 달라고 하면 저작권이 있는 이미지를 특정 방식으로 변형하거나 재해석한 형태로 생성하는 것은 제한된다는 메시지와 함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피규어 패키지 이미지 생성은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에 이어 생성형 AI를 활용한 또 하나의 놀이 문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신의 특성이나 취향을 반영한 피규어 이미지를 만들어 개성을 드러내고, 지인과 공유하면서 재미와 즐거움을 얻을 수 있죠. 이런 서비스 덕에 생성형 AI가 우리 일상에 빠르게 자리 잡는 것 같습니다. 다음은 또 어떤 트렌드가 생성형 AI 서비스의 대중화에 기여할까요?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