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프레드 “비트코인 ETF·트럼프 당선으로 신규 투자자 증가”
[IT동아 한만혁 기자] 가상자산 투자자가 늘었다. 지난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의 영향이다. 가상자산 투자자는 30~40대 남성이 주축을 이루며, 절반 이상이 1000만 원 이상 가상자산을 보유 중이다. 투자자 중 70%가 수익을 얻었으며, 올해 역시 상승장을 기대하고 있다.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가 ‘2024 대한민국 가상자산 개인 투자자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하며 이같이 분석했다. 리포트는 가상자산 미디어 및 커뮤니티 ‘코인니스’ 이용자 31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투자자 70%가 수익 달성, 신규 투자자도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는 30~40대가 주축을 이룬다. 30대와 40대가 각각 36.79%, 30.09%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성비로 나누면 여전히 남성이 많다. 하지만 여성도 지난 2022년 8%에서 2024년 31.32%로 급격히 증가했다.
눈에 띄는 것은 신규 투자자 비중이다. 전체 응답자의 약 33%가 지난해 가상자산 거래를 시작했다. 디스프레드는 “신규 투자자는 지난해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계기로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했다”라고 분석했다.
투자자의 절반 이상은 1000만 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금액은 1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미만(24.59%)이며, 100만 원 이하가 18.41%, 100만 원에서 500만 원이 16.83%,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이 12.91%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익을 얻은 투자자는 약 70%에 달했다. 투자금 대비 50% 미만의 수익을 얻은 투자자가 43.06%로 가장 많았으며, 약 12%의 투자자가 100% 이상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들이 선호하는 가상자산은 비트코인(28.65%), 리플(14.43%), 이더리움(9.96%), 도지코인(4.04%), 솔라나(3.71%) 순이다. 디스프레드는 “비트코인의 인기 요인 또한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트럼프 대통령 당선의 영향”이라고 언급했다.
업비트·빗썸, 격차 좁아져
현재 이용 중인 국내 거래소에 대한 질문에는 39.74%가 업비트, 33.01%가 빗썸, 14.32%가 코빗이라고 답했다. 해외 거래소의 경우 바이낸스(27.2%), 바이비트(14.94%), 비트겟(11.55%), OKX(10.77%) 등을 꼽았다.
이들은 가상자산 거래소를 선택할 때 ▲자금 입출금 편의성(26.77%) ▲거래량(24.01%) ▲브랜드(18.84%) ▲거래 수수료(14.19%) ▲디자인 및 편리성(9.25%) ▲상장 코인 리스트(6.77%)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거래소 관련 답변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업비트와 빗썸의 격차다. 설문 결과만 보면 업비트와 빗썸의 이용률 차이가 6.73% 차이에 불과하다. 이는 빗썸이 이용자 편의성을 강화하고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친 결과로 볼 수 있다.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해 거래 편의성을 높인 점도 격차를 좁힌 요인 중 하나다.
올해 가상자산 시장 전망 ‘긍정적’
가상자산 투자자는 올해 가상자산 시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투자자의 31.56%가 매우 긍정적으로 내다봤으며, 60.4%는 긍정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인 전망은 1.56%에 불과했다. 이에 투자자 중 37.26%는 지난해보다 공격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답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투자한다는 투자자도 46.22%에 달했다.
올해 주요 관심사에 대한 질문에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및 가상자산 정책(42.93%) ▲가상자산 과세 등 국내 정책(25.49%) ▲알트코인 현물 ETF 승인 여부(9.28%) ▲각국 정부 보유 비트코인 매도 추세(8.64%) ▲중국 가상자산 금지령 해제 여부(4.96%) 등을 꼽았다.
디스프레드가 발표한 ‘2024 대한민국 가상자산 개인 투자자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글로벌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등 글로벌 정책 변화로 인해 신규 투자자가 늘고, 수익률이 증가했다. 가상자산 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글로벌 정책 변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거래소 이용 현황이다. 가상자산 투자자는 거래 편의성과 거래량, 수수료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에 따라 빗썸의 점유율이 늘고 업비트와의 격차가 좁아졌다. 이용자 편의성 강화, 다양한 제휴 마케팅 및 이벤트, 저렴한 수수료 정책 등이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