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IT(잇)다] 팜스태프 “유통 판로 확보, 스마트팜 화룡점정”
[KOAT x IT동아]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IT동아는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과 디지털 전환을 이끌 유망한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기발한 아이디어와 상품, 그리고 독창적인 기술로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할 전국 각지의 농업 스타트업을 만나보세요.
[IT동아 차주경 기자]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된다. 화룡점정, 용의 그림을 잘 그린 다음 눈동자를 찍으면 그림이 진짜 용이 돼 승천한다는 고사성어도 있다. 정보통신시대인 오늘날에도 이 말은 유효하다. 좋은 기술은 제대로 써야만, 상승 효과를 만들 다른 기술과 연계해야만 온전한 가치를 발휘한다.
최근 주목 받는 스마트팜도 그렇다. 스마트팜은 농작물의 재배 지역과 기후의 제약을 없애고 생산량까지 늘리는 기술이다. 하지만, 정작 스마트팜에서 기른 농작물을 유통하지 못하거나 판로를 찾지 못하면 온전한 가치(수익)를 만들지 못한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보육 기업 ‘팜스태프’가 눈여겨보고 해결하려는 것이 이 지점, 스마트팜 농작물의 판로 개척과 가치 부여다.
스마트팜은 날씨와 기온, 영양 공급 등 여러 변수를 제어해 농작물의 생산량을 늘리는 유용한 기술이다. 하지만, 모든 농가가 스마트팜을 운용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팜을 운용하지만, 수익을 내지 못하는 농가도 있다. 즉, 농산업에 큰 효용을 가져다줘야 할 스마트팜은 아직은 온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김정우 팜스태프 대표는 과거 유통 대기업에서 유통 경력을, 화학 대기업에서 그린 바이오와 스마트팜 연구 경력을 각각 쌓았다. 그 때 스마트팜을 운용하는 농가가 농작물의 유통과 판로 개척을 어려워하는 것을 보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궁리했다. 그가 찾은 해결책은 ‘데이터’와 ‘유통’이었다. 스마트팜의 농작물 생육 데이터로 생산량을, 유통·판로 데이터로 수요처를 각각 확보하는 것이다.
김정우 대표는 스마트팜이 지속 가능한 농업을 현실로 이끌 잠재력을 갖췄지만, 아직 이를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유통·판로의 미비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래서 스마트팜을 보급하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농작물의 가치와 생산자의 힘을 함께 강화할 방안, 이렇게 수익을 만들어 농가에 온전히 전달하도록 유통·수요처와 연결할 방안을 떠올렸다. 이것이 고령화와 지력의 소멸, 기반 시설 부재로 서서히 몰락하는 농가를 되살리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만들 방법이라고도 생각했다.
그는 당시 재직 중이던 이수그룹의 사내벤처 프로그램 1기에 도전해 2022년 1월, 아이디어를 현실로 옮긴다. 이수그룹은 김정우 대표에게 창업 멘토링과 네트워킹, 근무시간 외의 별도 연구 시간 등을 지원했다. 그는 기업 영업과 스마트팜 재배, 홍보 마케팅 부문에서 각각 10년 이상 일해온 전문가들을 섭외해서 스마트팜과 유통의 상승 효과를 낼 데이터 기술을 연구했다.
이들이 처음 만든 것은 스마트팜·농작물 생육 전반의 데이터를 모으는 웹 서비스 소프트웨어 ‘팜시(Farmsee)’다. 이어 이들은 팜시로 모은 스마트팜의 각종 데이터를 토대로 농작물 유통 데이터를 제작, 수요처인 유통 기업의 상품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웹 서비스 ‘팜스태프’를 만든다.
팜시의 역할은 고부가가치 농작물을 재배해서 수익을 내는 스마트팜의 운영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다. 핵심 기술은 농작물의 생육도 측정이다. 주기별로 농작물이 잘 자라는지, 줄기의 두께는 어느 정도이고 잎의 색깔은 어떤지 파악하고 스마트팜의 주변 환경도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적용하고 스마트팜을 제어해 농작물의 품질을 늘 일정하게, 우수하게 유지한다.
팜스태프는 팜시로 고부가가치 농작물을 일정량 생산하는 스마트팜 여러 곳을 모아 ‘스마트팜 네트워크’를 만들 계획을 세웠다. 이를 도울 스마트팜 기자재·시설 표준화 방안도 연구한다. 전국 곳곳에 표준화 스마트팜을 설치하고, 농작물 재배 이론과 생육도 데이터를 고도화한 다음 적용해 고부가가치 농산물의 생산량을 늘릴 목적이다.
이 단계에 다다르면 팜스태프는 농작물 수확 성과를 유통 데이터로 만들어 전국의 식품, 유통 기업 등에 제시한다. 품질과 생산량이 일정한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수요처에 언제든, 필요한 만큼 제공한다고 보증하는 것. 그러면 자연스레 생산자의 힘이 강해진다. 정당한 수익을 요구하고 또 받는다. 김정우 대표는 이것이 스마트팜을 올바로 사용하는 방법, 농가 전반에 정당한 수익을 가져다주고 업계와의 동반 성장을 이끌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이미 팜스태프는 이 모델을 실험할 첫 고부가가치 농작물의 종류도 정했다. 강원도 화천군의 특산물 ‘깜빠리토마토’다. 나아가 대추방울토마토와 미니 파프리카, 딸기 등 고부가가치 농작물 전반을 재배하는 스마트팜 네트워크를 강화해 프랜차이즈 모델로 만들 계획도 세웠다. 물론, 이 스마트팜 프랜차이즈의 고부가가치 농작물의 재배와 유통, 판로 확보 전반은 팜스태프가 관리한다.
팜스태프는 계획에 따라 사업의 본질이자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 ‘유통 능력 확보’, ‘시장성 테스트’를 차근차근 해결 중이다. 우리나라 1위 신선식품 새벽배송 기업에 농작물을 공급하는 우수 협력농가 안스퓨어팜과 손 잡은 것이 첫 발걸음이다. 팜스태프는 안스퓨어팜과 함께 강원도 화천군에 약 1만 평 규모의 고부가가치 농작물 생산 거점을 10월까지 완공 예정이다. 이 곳에서 고부가가치 농작물 스마트팜의 운영과 생산, 유통과 수요처로의 연결 모델을 실험한다.
팜스태프의 스마트팜 네트워크를 알릴 콘텐츠와 홍보 채널도 만들었다. 스마트팜 운영 방법, 작물 재배 노하우와 유통의 중요성 등을 유튜브 채널 ‘팜스태프’에서 알린다. 팜시·팜스태프 웹 서비스 소개, 스마트팜과 유통간의 융합 이론과 성장 전망도 이 곳에서 본다. 이를 토대로 전국 농가에 스마트팜 네트워크의 장점과 매력을 알린다.
김정우 대표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눈여겨보고 다방면으로 지원한 이수그룹, 농산업 스타트업 창업과 성장을 도운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게 각별한 감사를 전했다. 팜스태프는 4월부터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간판이자 농산업 스타트업 특화 지원 프로그램인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사업에 참가 중이다. 이곳에서 다양한 농산업 스타트업 지원 제도를 듣고 네트워킹과 협업 기회도 얻었다. 이수그룹과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소풍벤처스 등 여러 기업으로부터 투자금도 유치했다. 다방면의 지원을 딛고, 팜스태프는 새로운 스마트팜 농작물 유통 모델을 고도화하고 보급할 예정이다.
김정우 대표는 “농가와 유통자, 수요자가 정보를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겠다. 이를 토대로 농업의 유통 구조를 바꿔 모든 구성원이 정당한 가치를 얻도록 돕는 기업, 농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스타트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