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온라인 불법복제 6년 만에 최저... 제일 피해를 입은 회사는 MS"

강일용 zero@itdonga.com

지난해 소프트웨어 온라인 불법복제 피해액이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온라인 불법복제 게시물 수 역시 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이하 SPC, www.spc.or.kr)가 2012년 온라인 서비스제공업체(이하 OSP) 및 포털 등 총 142개 업체를 대상으로 SW 불법복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지난 한 해 SW 온라인 불법복제 피해금액은 약 986억 원으로 드러났다. 이는 2011년 피해금액(약 2,140억 원)보다 54% 감소한 수치로 2006년(670억 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한 2012년 적발된 SW 온라인 불법복제 게시물 수도 총 45,709개로 2011년(95,936개)보다 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SPC는 이처럼 불법복제 피해액과 게시물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원인으로 2012년부터 시행한 웹하드 등록제와 OSP 통폐합에 따른 게시물 감소를 꼽았다.

SPC 온라인 모니터링 결과 작년 한 해 불법복제가 가장 많이 이뤄진 SW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로 총 10,661건이 적발됐고, 어도비의 '포토샵(5,754건)', 한글과컴퓨터의 '한글(5,553건)', 오토데스트의 '오토캐드(4,704건)'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사례는 2011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윈도우 55%↓, 한글 67%↓, 오토캐드 57%↓).

지난 해 SW 온라인 불법복제로 최대 피해를 입은 회사는 마이크로소프트로 총 피해 건수는 15,994건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어도비시스템즈(11,519건), 오토데스크(6,177건), 한글과컴퓨터(5,553건)가 각각 2,3,4위를 차지했다. 피해 금액이 가장 큰 회사는 오토데스크(322억 원)고, 이어 매스웍스(229억 원), 어도비시스템즈(155억 원)로 집계됐다.

온라인 SW 불법복제는 포털사이트 카페 및 블로그보다 웹하드 상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하드 상 불법 게시물 수는 전체의 75%인 34,358건으로 피해금액은 약 687억 원이다. 이는 2011년 대비 각각 14%, 22% 감소한 수치다.

반면 포털의 불법 게시물 수와 피해 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14%, 22%가 증가해 웹하드와 대조를 이뤘다. 특히 포털 사이트에서는 포토샵, 오토캐드 등 고가 제품의 불법복제가 만연한 것으로 파악됐다.

SPC 김은현 회장은 “이번 조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 SW 불법복제 근절을 위해서는 웹하드 등록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가 필수이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 / IT동아 강일용(zero@itdonga.com)

IT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